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방직 9급 합격컷의 의미와 면접 선발 배수까지 완벽 정리

by 맛집스토리 2025. 6. 23.
반응형

지방직 9급 공무원 시험에 도전하는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가장 신경 쓰는 지점이 바로 합격컷입니다.
“합격컷이 90점이면 89.99점은 떨어지는 건가요?”
“면접은 더 많이 뽑는다던데 컷은 의미 없는 거 아닌가요?”

 

이처럼 자주 나오는 질문들을 중심으로 합격컷의 정확한 의미, 면접 배수, 최종 합격과의 관계 등을 상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지방직 시험 구조를 이해하면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합격컷이란? 점수 기준의 정확한 의미

합격컷 = 필기시험 합격선을 의미합니다.

즉, 면접에 진출하기 위한 최저 점수이며, 컷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경우 면접 응시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예:

  • 일반행정 9급 지역모집 선발 10명
  • 필기 합격자 15명 선발 시,
  • 15등의 점수가 90점이라면 → 이 점수가 ‘합격컷’

 

90점 미만은 필기 탈락이며, 면접 기회도 주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말하는 “컷만 넘자”는 면접진출 최소 조건을 충족하자는 의미입니다.

 

 

 

 

 

 

 

2. 면접 선발은 몇 배수까지? (일반적으로 1.5~2배수)

지방직 9급 면접 대상자 선발은 지역·직렬·선발인원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배수로 이루어집니다:

 

선발 예정 인원면접 대상자 수 (예상)
5명 7~10명 (1.52배수)
10명 15~20명
20명 30~40명

 

 

배수가 넉넉한 편은 아니기 때문에, 필기 고득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동점자 전원 합격 원칙이 적용되므로, 컷점수선에서 동점자가 많을 경우 예정보다 면접인원이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3. 면접은 단순 형식인가? 역전 가능성은?

면접은 일정 배점을 가지고 있고, 지방직 9급 기준 보통 20~30점 내외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면접 점수 차이는 크지 않고, 대부분 비슷한 점수를 받습니다.

 

예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 필기 성적이 매우 낮고, 면접에서도 답변이 불성실한 경우
  • 신원조회 또는 태도 문제가 발생한 경우
    → 불합격 가능성 있음

 

하지만 대부분은 필기 고득점자가 최종합격을 차지하며, 역전 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

 

 

 

 

 

4. 최종 합격 결정 방식

최종 합격은 필기 점수 + 면접 점수의 합산 점수로 결정됩니다.

 

  • 필기: 과목별 조정점수 합계 (100점 만점 환산)
  • 면접: 통상 20~30점 배점
  • 예: 필기 88점 + 면접 26점 = 총점 114점

 

이 점수를 기준으로 최종 선발예정 인원만큼 고득점자부터 커트되며, 면접은 탈락자도 존재합니다.

 

 

 

 

 

 

 

5. 최근 주요 직렬 합격컷 예시 (2024년 기준)


 

직렬 지역 선발인원 합격컷
일반행정 9급 서울 230명 91.00점
일반행정 9급 경기 312명 89.67점
사회복지 9급 대구 45명 87.50점
교육행정 9급 충북 38명 90.00점
 

※ 합격컷은 해마다 난이도·경쟁률·동점자 수에 따라 변동됩니다.

 

 

 

 

 

결론

지방직 9급에서 말하는 ‘합격컷’은 면접 응시를 위한 필기시험 커트라인을 의미하며, 이 점수 미만은 면접도 볼 수 없습니다.

면접은 일정 배수로 진행되지만 최종합격은 점수 합산 순위로 결정되므로, 필기시험 고득점이 가장 중요합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합격컷 = 필기 합격자 중 최하위 점수
  • 컷 미만은 무조건 불합격
  • 면접은 1.5~2배수 선발
  • 최종합격은 필기 + 면접 점수 합계 순
  • 대부분은 필기점수가 당락 좌우

 

최근 직렬별 합격컷 및 커트라인 분석표는 블로그에서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해보세요. 향후 면접 대비도 함께 준비하시면 좋습니다!

반응형